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FIFA 클럽 월드컵 아랍에미리트 2021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IFA 클럽 월드컵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FIFA 클럽 월드컵/역대 대회
,
,
,
,
,




FIFA 클럽 월드컵 아랍에미리트 2021
العالم للأندية لكرة القدم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كأس 2021
FIFA Club World Cup UAE 2021™
파일:Fifa-WorlCup-UAE.jpg
대회 기간
2022년 2월 3일 ~ 2022년 2월 12일
개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공인구
커넥스트21
본선 진출팀
7개팀
대회 결과
우승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
(1번째 우승)
파일:첼시 FC 로고.svg
준우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파일:SE 파우메이라스 로고.svg
3위
파일:이집트 국기.svg 알 아흘리 SC파일:알 아흘리 SC(이집트) 로고.svg
4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파일:알 힐랄 SFC 로고.svg
수상
골든볼
파일:첼시 FC 로고.svg 티아고 실바
실버볼
파일:SE 파우메이라스 로고.svg 두두
브론즈볼
파일:SE 파우메이라스 로고.svg 다닐로
페어플레이상
파일:첼시 FC 로고.svg 첼시 FC
이전·이후 대회
2020년
카타르
2021년
UAE
2022년
모로코
||

1. 개요
2. 상세
3. 상징 및 경기장
3.1. TV 오프닝
3.2. 엠블럼
3.3. 공인구
3.4. 경기장
4. 진출 팀
5. 대회 전
5.1. 심판진
6. 경기 일정
6.1. 토너먼트 대진
6.2. 우승



1. 개요[편집]


2021년에 개최된 18번째 FIFA 클럽 월드컵으로, FIFA 클럽 월드컵 UAE 2009, FIFA 클럽 월드컵 UAE 2010, FIFA 클럽 월드컵 UAE 2017, FIFA 클럽 월드컵 UAE 2018에 이어 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되는 다섯 번째 클럽 월드컵이다.


2. 상세[편집]


원래 2021년 12월에 일본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 확진자가 늘어나 겨우 3달 앞두고 9월 9일 개최를 포기했다.

원래, 이 대회부터 진출팀을 24개로 늘리고 황금시장인 중국에서 열어서 더더욱 돈을 많이 벌겠다고 욕심부리던 피파였지만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해 목표했던 24개팀 체제를 취소하고 기존 7개팀 체제로 유지되었다. 개최국도 중국에서 일본으로 변경되었던 거였다. 그럼에도 잔니 인판티노 FIFA 회장은 빠른 시일 내에 24개팀 체제를 중국에서 개최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일본은 올해 JFA 창립 100주년을 맞아 클럽 월드컵 개최에 공을 들여왔으나 코로나19 확진자가 계속 늘어나 2021년 9월 9일 대회를 석 달 앞두고 개최를 포기했다. 차기 개최지는 12월 이전에 이뤄질 예정인데 시간이 얼마 남지도 않았기에 전번 대회를 개최한 카타르가 가장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많다.

그러다 2021년 10월 20일, 4번의 개최 경험이 있는 아랍에미리트가 2022년 초에 개최하는 것으로 확정을 지었고 이후 2월 3일부터 2월 12일까지 치르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

대한민국에서는 skySports에서 독점 생중계를 할 예정이다.


3. 상징 및 경기장[편집]



3.1. TV 오프닝[편집]


FIFA 클럽 월드컵 아랍에미리트 2021 - 공식 TV 오프닝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2. 엠블럼[편집]


파일:Fifa-WorlCup-UAE.jpg
FIFA 클럽 월드컵 아랍에미리트 2021 엠블럼
똑같이 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되었던 FIFA 클럽 월드컵 UAE 2017, FIFA 클럽 월드컵 UAE 2018와 동일한 엠블럼이다.


3.3. 공인구[편집]


파일:커넥스트21.jpg
커넥스트21(Conext21)
2020 도쿄 올림픽 축구FIFA 클럽 월드컵 카타르 2020의 공인구 커넥스트21와 이름과 구조가 동일하며 디자인 또한 유사하다.


3.4. 경기장[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진출 팀[편집]


1라운드[1] 자동 진출 팀
진출 자격진출 확정일진출 횟수최근 진출최고 성적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자지라 클럽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 우승
(개최국 리그 우승)
2021년 10월 20일2회20174위
(2017)
파일:타이티 국기.jpg AS 피라에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선정2021년 12월 30일1회첫 진출-
6강 자동 진출 팀
진출 자격진출 확정일진출 횟수최근 진출최고 성적
파일:이집트 국기.svg 알 아흘리 SC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2020년 11월 27일7회20203위
(2006, 202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2021년 11월 23일2회20194위
(2019)
파일:멕시코 국기.svg CF 몬테레이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2021년 10월 28일5회20193위
(2012, 2019)
4강 자동 진출 팀
진출 자격진출 확정일진출 횟수최근 출전최고 성적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2021년 5월 29일2회2012준우승
(2012)
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2021년 11월 27일2회20203위
(2020)

  • 오세아니아 대표로[2] 진출 예정이었던 오클랜드 시티 FC뉴질랜드코로나19 지침에 따라 참가 불가 통보를 받아 1라운드를 건너뛰고 2라운드(6강)부터 대회가 진행된다.[3]


5. 대회 전[편집]



5.1. 심판진[편집]


대륙주심부심VAR
AFC파일:호주 국기.svg 크리스 비스파일:호주 국기.svg 안톤 슈체티닌
파일:호주 국기.svg 애슐리 비첨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암마르 알제네이비
CAF파일:알제리 국기.svg 무스타파 고르발파일:알제리 국기.svg 모크란 구리
파일:알제리 국기.svg 압델하크 에치알리
-
CONCACAF파일:멕시코 국기.svg 세사르 라모스파일:멕시코 국기.svg 알베르토 모린
파일:멕시코 국기.svg 미겔 에르난데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드루 피셔
CONMEBOL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페르난도 라팔리니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후안 파블로 벨라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디에고 본파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니콜라스 갈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마우로 비글리아노
UEFA파일:프랑스 국기.svg 클레망 튀르팽파일:프랑스 국기.svg 니콜라 다노
파일:프랑스 국기.svg 시릴 그랑고르
파일:프랑스 국기.svg 윌리 들라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시밀리아노 이라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폴 판부컬

서포트 심판
대륙주심
OFC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데이비드 야레보이넨


6. 경기 일정[편집]


구분일시대진경기장하이라이트풀영상
플레이오프2. 4. (금) 01:30(GMT+9)알 자지라 4:1 피라에모하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
6강전2. 6. (일) 01:30(GMT+9)알 아흘리 1:0 몬테레이알나얀 스타디움##
2. 7. (월) 01:30(GMT+9)알 힐랄 6:1 알 자지라모하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
5위 결정전2. 9. (수) 23:30(GMT+9)몬테레이 3:1 알 자지라알나얀 스타디움##
준결승2. 9. (수) 01:30(GMT+9)파우메이라스 4:0 알 아흘리알나얀 스타디움##
2. 10. (목) 01:30(GMT+9)알 힐랄 0:1 첼시모하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
3위 결정전2. 12. (토) 22:00(GMT+9)알 아흘리 4:0 알 힐랄알나얀 스타디움##
결승2. 13. (일) 01:30(GMT+9)파우메이라스 1:2 첼시모하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


6.1. 토너먼트 대진[편집]


파일:2021 FIFA Club World Cup draw.jpg


6.2. 우승[편집]


FIFA 클럽 월드컵 아랍에미리트 2021
우승팀
첫 번째 우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00:27:54에 나무위키 FIFA 클럽 월드컵 아랍에미리트 202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7강[2] OFC 챔피언스 리그 우승자 자격이 아닌 선정, 사유는 후술.[3] 2020 OFC 챔피언스 리그는 조별리그까지 마무리가 됐지만 8강 토너먼트를 하지도 못하고 대회를 몇 차례 미루다 결국 취소 선언을 하였다. 그 관계로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은 조별리그 성적이 가장 좋은팀을 선정했는데 오클랜드 시티가 3전 전승, 골득실 +9로 선정이 된것이다.